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질병이야기

첫 팬데믹 스페인독감을 알아보자

by 은돌프 2020. 4. 9.

지난해 겨울부터 시작되었던 코로나19 사태가 계절이 바뀌어 봄이 된 지금까지도 해결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관계 국가기관 공무원들과 수많은 의료진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코로나19로 인해 고통받는 국민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많은 분들이 팬데믹이라는 말을 접하게 되셨을 겁니다. 팬데믹이란 대유행을 뜻하는 말로 오늘은 이 팬데믹이 처음으로 선언되었던 스페인독감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독감이란 무엇인가?

먼저 독감이란 무엇인지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제는 감기와 독감의 차이점을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감기는 리노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고,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발열, 콧물, 인후통, 두통 등과 같은 증상을 나타냅니다. 매년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행하기 때문에 취약한 계층인 노령층, 영유아 들은 겨울만 되면 독감예방접종을 맞습니다. 
보통은 일반적인 수준의 독감이기 때문에 매년 상당수의 인구가 독감을 앓다가 이내 쾌차하곤 합니다. 그런데 이 바이러스는 쉽게 변형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종종 매우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탄생하는 것이지요. 몇년전 유행했던 신종인플루엔자와 1918년 유행했던 스페인독감이 바로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스페인독감의 위험성

이 독감은 사실 스페인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고 언론이 비교적 자유로웠던 스페인에서 이 독감을 대대적으로 다루게 되면서 세계로 알려졌습다. 이때문에 스페인독감이라고 이름붙게 된 것 입니다. 
현재의 코로나19 상황과 같이 그 당시에도 각종 행사와 모임이 취소되고, 상당수의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고 돌아다녔다고 합니다. 이 독감은 인류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기억됩니다. 인구의 1/4 이상이 감염되었으며 약 5천만명의 사상자를 기록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인구수가 5178만 명인 것을 고려하면 5천만명의 사상자가 얼마나 많은 숫자인지 짐작이 되실겁니다. 

종식까지

1918년 유행하기 시작했던 스페인독감은 이듬해인 1919년 4월에 종식하게 됩니다. 세계인구의 약 30%에 가까운 인구가 이 독감에 감염되었고 4~5천만의 인구가 이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스페인독감의 진행과정을 살펴보면 사망자수가 한번 올랐다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파동형태를 나타냈습니다. 즉 잠시 멈추는 듯 하다가 다시 확산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 무시무시했던 독감은 어떻게 종식된 것일까요? 정확한 이유는 아무도 모르지만 아마 스웨덴에서 실시했던 집단면역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상당수의 사람이 스페인독감이 걸렸다가 죽거나 완치가 되면서 완치된 사람들이 면역이 생기고 이로 인해 바이러스의 숙주가 부족해져 종식하게 되었다는 이론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도 이와 똑같은 패턴을 나타낼지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스페인독감처럼 상당수의 사람이 감염 후 완치가 되어야 종식되지 않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