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지식/질병이야기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증상, 자가진단, 극복방법

by 은돌프 2020. 6. 11.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질병은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입니다. 공황장애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의 증상과 자가진단, 극복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란?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는 불안장애의 하나로 심한 불안과 발작, 그리고 각종 신체 증상들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많은 연예인들이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고 밝히면서 공황장애에대한 인식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더불어 이런 질병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 사람들도 많아졌죠. 따라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내가 종종 보였던 신체적 변화들이 공황발작이 아닌가 걱정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증상

공황장애는 위협을 느낄 상황이 아닌데도 갑작스럽게 호흡이 가빠지고 심장이 조여오는 등 신체적 발작 증상이 발현하는 질환입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호흡이 가빠지거나 숨이 막혀옵니다. 

두번째 손 발이 저립니다. 

세번째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듭니다. 

네번째 죽을 것 같다는 공포감에 휩싸입니다.

다섯번째 어지럽고 곧 쓰러질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여섯번째 맥박이 빨라집니다. 

일곱번째 땀이납니다. 

여덟번째 속이 안좋아 집니다. 

아홉번째 가슴이 꽉 조여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자가진단

사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는 병원에 방문하셔서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증상들이 이유없이 종종 발생하고, 최소 1개월 간 공황발작이 올까하는 두려움과 걱정을 하고, 발작을 일으킬 상황을 찾아서 회피하려고 하는 등의 모습을 보인다면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일 확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말씀드린 증상과 위와 같은 증상이 있으신 분이라면 가까운 정신과를 방문하셔서 의사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원인

많은 분들이 스스로 약한 사림이라고 인정하는 꼴이 될 까봐 공황발작이 발생했음에도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공황장애는 마음이 약한 분들이 걸리는 질병이 아닙니다. 인간이 일반적으로 느끼는 불안이라는 감정이 각종 이유로 컨트롤이 잘 안될 뿐이죠. 유전적인 요인도 매우 중요합니다.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는 가까운 친척이 공황장애를 앓을 경우가 일반인에 비해 10배정도 높은 것으로 열려져 있습니다. 어떤 염색체에 의한 유전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불안을 조절하는 신경계의 변화가 아닐까 추측됩니다. 또한 어린시적 분리 불안의 경험이 있었던 사람에서 공황발작이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 극복방법

스트레스성 공황장애는 심리치료와 약물치료를 통해 극복할 수 있습니다.
먼저 심리치료로는 나를 불안에 빠지게 하는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상황에 서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입니다. 이런 노출 요법은 실제로 진행하셔도 상관없고, 상상으로 노출시키셔도 상관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안정적으로 호흡할 것인지, 이완기법을 내가 잘 이해하고 있는지 같이 시뮬레이션 해보시면 좋습니다. 더불어 인지 치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지치료는 두려움을 파악해보고 이것이 근거 없는 두려움이 라는 사실을 파악하는 치료 입니다. 심리상담사 혹은 정신과 의사와 상담을 통해서 인지 치료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성 공황장애에 도움이 되는 약물로는 항우울제와 항불안제가 있습니다. 대부분 공황장애를 앓는 경우 우울증이 동반한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MAOI계, SSRI계, SNRI계 항우울제 모두 사용 가능 합니다. 더불어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약은 매우 효과적이나 의존성이 있고,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서 각별하게 주의하셔서 사용하여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불안증상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 수면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면패턴이 깨지면 불안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수면제의 도움을 받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말씀드린 항우울제, 항불안제, 수면제 모두 의존성과 같은 위험한 부작용이 많은 약물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의사와 약사의 복약지도에 따라서 약을 복용하셔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주세요. 

댓글